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안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업계 4대 단체는 서울 방배동 협회 미래관에서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을 비롯해 류형선 한국의약품수출협회 회장, 김정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 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비대위는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며, 산하에 기획정책위원회와 국민소통위원회를 두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금명간 발표할 약가 인하 정책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골든타임을 가로막는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추가적인 약가 인하는 R&D와 제조 기반을 약화시키고, 수입의약품 의존도를 높여 보건안보를 훼손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에 합리적 의견을 전달하고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대안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는 현재 제약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약가 개편이 산업 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키워드
#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안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업계 4대 단체는 서울 방배동 협회 미래관에서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을 비롯해 류형선 한국의약품수출협회 회장 #김정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 #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비대위는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며 #산하에 기획정책위원회와 국민소통위원회를 두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금명간 발표할 약가 인하 정책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골든타임을 가로막는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추가적인 약가 인하는 R&D와 제조 기반을 약화시키고 #수입의약품 의존도를 높여 보건안보를 훼손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에 합리적 의견을 전달하고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대안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는 현재 제약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약가 개편이 산업 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약가제도개편 #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비상대책위원회 #약가인하 #R&D투자 #보건안보 #신약개발 #제약산업 ##약가제도개편 #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비상대책위원회 #약가인하 #R&D투자 #보건안보 #신약개발 #제약산업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
- 규제과학센터-의약품협회 손잡다
- 제약바이오업계, 약가개편 비대위 출범
- 송도서 제약바이오 투자유치 대전
- 제약협, 11월 24일 ‘2025 KPBMA 커뮤니케이션 포럼’ 개최
- 대약 ‘약의 안전사용’ 두 가지 대국민 홍보사업 전개
- 한미약품 ‘미래의 비만 신약’혁신 기술, 美 학회서 조명
- 제약바이오협, ‘바이오유럽 2025’서 글로벌 위상 강화
- 제약바이오협, 복지부 ‘K-AI 신약개발 전임상·임상 모델개발사업(R&D)’ 총괄기관 선정
- 제약바이오협회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글로벌 경쟁력 강화 기대”
- 한미, 세계 최대 의약품 전시회 참가…글로벌 진출 보폭 넓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