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안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업계 4대 단체는 서울 방배동 협회 미래관에서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을 비롯해 류형선 한국의약품수출협회 회장, 김정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 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비대위는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며, 산하에 기획정책위원회와 국민소통위원회를 두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금명간 발표할 약가 인하 정책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골든타임을 가로막는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추가적인 약가 인하는 R&D와 제조 기반을 약화시키고, 수입의약품 의존도를 높여 보건안보를 훼손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에 합리적 의견을 전달하고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대안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는 현재 제약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약가 개편이 산업 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단체사진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단체사진 /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제공

 

키워드

#제약바이오 업계가 정부의 약가제도 개편안에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2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업계 4대 단체는 서울 방배동 협회 미래관에서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 제1차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을 비롯해 류형선 한국의약품수출협회 회장 #김정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 #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비대위는 공동위원장 체제로 운영되며 #산하에 기획정책위원회와 국민소통위원회를 두고 있다. 업계는 정부가 금명간 발표할 약가 인하 정책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골든타임을 가로막는다고 우려했다. 참석자들은 "추가적인 약가 인하는 R&D와 제조 기반을 약화시키고 #수입의약품 의존도를 높여 보건안보를 훼손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비대위는 정부에 합리적 의견을 전달하고 산업계 피해를 최소화할 대안을 제시해 나갈 방침이다. 업계는 현재 제약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가 증가하는 시점에서 약가 개편이 산업 성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약가제도개편 #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비상대책위원회 #약가인하 #R&D투자 #보건안보 #신약개발 #제약산업 ##약가제도개편 #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비상대책위원회 #약가인하 #R&D투자 #보건안보 #신약개발 #제약산업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