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 전문가들이 15일 ‘통일대비 남북한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고찰’ 토론회에서 남북 보건의료체계 해결을 위한 지견을 나눴다/ 사진= 김이슬 기자

최근 남북관계가 해빙모드로 진입하면서 남북의 의료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문 간호인들이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개진했다. 

15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인재근 국회의원, 이인영 국회의원이 주최한 ‘통일대비 남북한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고찰’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전문가들은 통일시대 낮은 건강수준의 북한 주민을 포함한 한반도 국민의 질병 치료와 건강 유지·증진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러면서 현실적으로 다가온 통일을 대비해 통합된 간호 교육과정 개발, 인재육성, 간호 거버넌스 구축 등을 문제로 삼고 국민에게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 중 전문가들은 ‘인력 양성’을 선결과제로 삼고 간호인력 양성체계 형성 마련을 촉구했다. 

통일간호포럼 서기순 정책위원장은 “차세대 통일시대 리더로 대학생의 교류를 활성화시켜야 하며, 간호 인력의 북한지역 파견 및 인력교환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남북 간의 의료 환경을 이해하고 이질성을 극복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학술 및 기술교류를 활성화 시켜 유휴간호사 뱅크, 자원봉사 인력을 조직화하여 즉각적으로 기초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보건의료시스템이 효율적으로 가동되기 위해 필요한 보건의료자원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보건의료 인력이므로 다양한 보건의 확보는 안정적인 의료체계 구축에 매우 중요한 문제라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북한이탈주민 간호사 출신의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 황경희 주문관 역시 간호 인력은 안정적 의료체계구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이다.

황 주무관은 “북한 의료계 내에서 간호사가 차지하는 위치는 전문 의료인의 역할보다 병원 운영에 필요한 노동인력정도에 그치고 있다.”며 “심지어 해당병원에서 양성소를 만들어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 곳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통일한국을 생각할 때 우리국민은 철저히 검증된 전문 의료 인력에 의해 건강서비스를 제공받아야 하므로 북한의 현 간호인력 양성체계를 재정비하고 자격부여 기준, 자격검증 및 관리제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이날 전문가들은 남북한 분단의 장기화로 인한 의사소통 문제를 부작용으로 지적하며 ‘남북한 간호 용어집’ 지원 제작을 촉구했다.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전정희 간호사무관에 따르면 탈북민 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에서 28%는 남한 의료진의 설명을 잘 알아들을 수 없다고 호소했다.

반면 탈북민을 진료하는 남한의 의료진 27%는 탈북민이 호소하는 증상을 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을 보여 상호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전정희 사무관은 “탈북민이 느끼는 의사소통의 문제는 남북한 문화적 차이 때문임에도 탈북민은 차별을 받는다고 느끼고 있어 정착과정에서 우선적으로 해결돼야할 분야”라며 “이를 위해 ‘남북한 간호용어집’ 제작을 우선적 간호과제로 선정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가 말하는 남북한 간호용어집 제작방향은 이렇다.

1차적으로 문헌자료를 통해 간호 및 학술 용어를 정리하고, 최근 변화된 용어 혹은 사용하지 않는 용어 비교를 위해 북한의 변화 상황을 반영한 용어집이 돼야 한다는 것.

그러면서 “북한의 전통적인 보건정책 유지와 새롭게 도입되는 교육과정 든 변화 상황이 반영된 ‘간호용어집’은 향후 납북한의 활발한 교류 진행시에 소통의 도구로 화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남북한의 간호교육체계와 이질성을 극복하고 통합하는 과정에서 간호연구전문가, 통일전문가 등으로 이뤄진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지속적인 남북한의 협력과 주변국과의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구 설립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