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현장을 보면, 적응증이 허가된 약제는 많지만 정작 건강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쓸 수 있는 약제는 거의 없습니다. 실제 환자가 본인에게 효과가 있는 치료제가 뭉서인지 찾는 과정이 필요하고, 효과가 입증된 약제는 선등재 후평가제도 등을 도입해 지속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18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종양내과학회 제16차 정기심포지엄 및 총회에서는 '암 환자의 약제 접근성 확대를 위한 길'을 주제로 특별 세션이 개최됐다.

이날 현장에서는 항암 신약의 등재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시급하다는 토로가 이어졌다.

▲ 대한종양내과학회가 제16차 정기심포지엄 및 총회에서 '암 환자의 약제 접근성 확대를 위한 길'을 주제로 특별 세션을 개최했다./ 사진= 한국의약통신 DB

한국신장암환우회 백진영 대표는 비급여 약제를 1년 이상 장기복용하고 있는 환자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비급여 약제의 경우 치료비 부담이 상당하다고 지적하고 현실적인 치료환경에 맞춰 효과가 입증된 약제는 급여화를 서둘러 암 환자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항암신약에 대한 보장성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날 발표에서는 선 등재 후 평가 모형을 예상했을 때 추가적인 재정 부담이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끌었다.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김요은 연구교수는 '비급여 약제의 신속 급여화 방안 모색'의 일환으로 '선 등재 후 평가 제도' 도입 효과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A7 조정 최저가 또는 9개국의 조정 최저가 수준으로 항암제를 선등재할 경우,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약제를 빨리 사용해야 하는 환자들의 경우 항암신약의 환자 접근성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며 "아울러 제약사 환급을 고려하면 건강보험 재정의 중립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내 도입 약제의 적응증 확대'를 발표한 대한종양내과학회 이대호 교수(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도 "항암 신약이 계속 출시되고, 암 치료 전략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보험급여제도가 이를 충분히 쫓아오지 못하고 있다."며 "환자와 정부, 기타 이해 당사자 간의 입장을 조율해 하루라도 빨리 건강보험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패널토론에 참석한 정부 측은 "이미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그 결과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환자와 전문가들을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제도개선협의체를 통해 논의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곽명섭 과장은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항암 신약의 신속 급여 등재 방안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고 최근 가시적인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며 "하지만 선등재 후평가제도 도입은 이후 재평가과정에서 수용되지 않았을 때 환자들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을지에 관한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한국암치료 보장성확대 협력단은 일선 의료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구성됐으며 대한종양내과학회가 적극 참여하고 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