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신장질환자의 단백뇨 신장 손상을 악화시키는 작용기전을 최초로 규명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논문 게재했다.. 

 

신약개발지원센터 박선지 선임연구원은 미국 워싱턴대 의대(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의 메기 첸(Maggie Chen) 교수와 국제 공동연구를 통하여 신장질환자의 단백뇨가 염증반응과 세포자멸사를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단백뇨가 어떤 기전으로 신장 손상의 원인이 되는지 확인했기 때문에 향후 신장질환 치료제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존 통설에서 단백뇨는 신장질환의 지표로만 생각되었으나, 최근 연구들로 병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그 정확한 원인과 작용과정 등은 알지 못했는데 이번 연구로 단백뇨와 신장질환 간의 기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신장 손상으로 인해 일정량 이상의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단백뇨라고 한다. 신장질환의 지표가 되는 단백뇨는 신장 손상을 악화시켜 만성 신장질환으로 진행시키는 원인이 된. 따라서 연구진들은 단백뇨에 의한 신장 손상의 원인을 규명하여, 발생 초기에 이를 치료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연구팀은 단백뇨성 신장질환 환자와 동물모델()을 이용한 연구를 통하여 관련 기전을 증명했다.

 

실험에서 단백뇨에 의한 ‘TXNIP’(티엑스닙/티레오독신 상호작용 단백질)의 발현 증가가 신장 세포에 소포체 스트레스 유래 염증반응과 미토콘드리아 매개의 세포자멸사를 유도하여 신장 손상을 야기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그림 참고].

 

또한 ‘TXNIP’의 발현 및 세포내 이동은 ‘CHOP’()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도 밝혔다이를 이용하여 단백뇨성 질환 동물모델에 ‘CHOP’ 유전자를 결손시켰을 때 염증반응과 세포자멸사가 억제되고 단백뇨의 감소와 신장 기능 향상 등 증상이 완화되었으며 생존률 또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향후 단백뇨가 발생하는 여러 신장질환의 치료제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인 미국 국립과학원회보 (PNAS,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F=12.79)’ 830일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Blocking CHOP-dependent TXNIP shuttling to mitochondria attenuates albuminuria and mitigates kidney injury in nephrotic syndrome’(CHOP에 의한 TXNIP의 미토콘드리아로의 이동 억제가 단백뇨 감소와 신우신증후군의 신장손상 완화) 이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신장은 나빠지면 투석이나 이식밖에 방법이 없는 까다로운 부위인데, 단백뇨와 신장 질환 사이 기전을 규명했다는 것은 신장 질환 치료제 개발에도 청신호가 열렸다는 뜻이라 의미가 깊다특히 연구자들이 신뢰하는 학술지인 미국 PNAS에 논문이 실려 케이메디허브의 연구능력을 보여준 것도 기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