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1000종 이상 출현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종(VUI-202012/01)이 덴마크와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는 물론 호주까지 확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1은 21일 영국 BBC방송이 20일(현지시간) 전 세계 바이러스 샘플의 유전자 코드를 관찰해 온 넥스트레인을 인용, 영국발 변종이 덴마크와 호주, 네덜란드에서 각각 보고됐다고 전했다고 보도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영국 밖에서 변종 바이러스는 현재까지 △덴마크 9건 △네덜란드 1건 △호주 1건이 보고됐다. 유럽 ​질병통제예방센터(ECDC) 역시 덴마크, 네덜란드, 벨기에에서도 새로운 변종이 보고됐다고 밝혔다.

이와 별도로 이탈리아 보건부는 이날 영국에서 로마로 귀국한 자국민이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을 확인하고 즉시 격리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확인된 변종(501.V2)은 영국 변종과는 유전적 배열이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감염력이 70% 높은 것으로 알려진 영국 변종이 나타나자 프랑스와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등 전 세계 10여개국이 영국발 입국을 막고 속속 추가 봉쇄에 들어가고 있다.

국제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기준으로 21일까지 유럽(영국·러시아 포함) 누적 확진자는 2132만9307명으로 전날보다 18만4000여명 늘었다. 사망자는 3070명 증가해 누적 49만2125명을 기록했다.

▲ 1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연결하는 '가르 드 노드' 역에 코로나19 경고문이 붙어 있다. AFP=뉴스1

한편 영국의 최고 의료 책임자인 크리스 휘티 교수는 19일(현지시간) “새로운 변종이 더 빨리 퍼지고 있으며 수도와 남동부 지역에서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새로 발견된 변종 바이러스가 1000여 종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새로운 균주가 더 높은 사망률을 유발하거나 백신과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아직 없지만, 이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영국에서 등장한 코로나19 변종에 대해 알고 있지만 이 변종이 기존 바이러스와 다르게 작용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며 "백신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아직까지 백신의 효능이 감소할 것이란 증거는 없다고 보고 있지만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영국 정부에 따르면 코로나19 발병률은 지난주 런던에서 거의 두 배가 됐고, 변종 바이러스는 기존의 바이러스보다 전파 속도가 70% 빠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영국에서는 20일 코로나19 일일 확진자가 3만5000명을 돌파해 사상최고를 기록했다.

그와 함께 미국 백신 개발 프로젝트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 몬세프 슬라위 최고책임자도 영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에도 백신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 밝혔다.

그는 20일 CNN에 출연해 "현재 승인된 백신들이 영국에서 확산하고 있는 변종 바이러스에 효과가 없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변이가 심할 경우, 기존의 백신이 듣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향후 사태를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고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는 전했다.

우리나라 방역당국은 영국에서 코로나19 변종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20일 "구체적인 영향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설명자료를 통해 "영국 남동부 켄트시 주변에서 빠르게 확산하는 코로나19 유행을 분석하던 중 1100명 이상에서 변이 바이러스를 확인했다"며 "현재 변이가 바이러스 특성 및 임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전파력, 감염 재생산지수 등 구체적인 영향은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방대본은 바이러스 변이에 대해 "스파이크 단백질에 여러 변이가 발생한 것으로 정의된다"고 전했다.

이어 "세계보건기구(WHO) '바이러스 유전자 정보 공유망'(GISAID) 분석에 따르면 이 중 501번 아미노산이 아스파라긴에서 티로신으로 변한 것, 60~70번 결실, 144~145번 결실이 바이러스 구조 및 기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