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2019년 진주 방화·살인사건과 창원 아파트 살인사건, 이 범죄들의 공통점은 조현병 환자의 공격성으로 인해 벌어진 사건들이죠.

그럼 이런 조현병 환자의 공격행위 예방을 위해서는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국내 연구자들이 범죄를 저지른 조현병 환자들의 공격성 유형에 따른 특성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해 유형에 맞는 예방 전략의 필요성을 제시했습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팀(권준수 교수, 김민아 교수)은 조현병 환자의 공격성 유형별 특성을 최초로 비교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연구대상은 2019년 7월부터 9월까지 공격성이 수반된 위법 행위로 치료감호 명령을 받고 국립법무병원에 입소되어 있는 조현병 환자 116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공격성을 계획적(33명)과 충동적(83명)으로 분류해 사이코패스, 충동성과 정서조절, 사회적 환경 영향, 스스로 병을 인식하고 있는 지에 대해 비교 조사했습니다.

연구결과, 계획적 공격성을 보인 조현병 환자는 상대적으로 지능이 낮고 어린 시절 학대 경험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충동적 공격성 환자보다 사이코패스 관련 요인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조현병 환자는 환청이나 망상과 같은 정신병적 증상에 의한 충동으로 갑자기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조절능력이 부족해 외부 자극에 크게 반응하면서 충동적인 공격성을 보입니다. 따라서, 충동적 공격성을 보이는 환자는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거나 충동 조절에 유용한 항경련제와 기분안정제로 효과적인 치료와 공격행위를 예방해야 합니다.

그러나 계획적 공격성을 보이는 조현병 환자는 정신병적 증상이나 충동 조절의 어려움과는 관계없기 때문에, 인지행동치료, 심리사회적치료 등 약물 이외의 치료적 접근과 사이코패스 성향을 고려한 공격행위 예방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권준수 교수는 “이 연구결과가 조현병 환자의 공격성을 예측하고 예방해 실질적인 사회문제 해결로 이어지길 바란다”며, “환자가 치료를 거부하는 경우 개인이나 가족에게 책임을 미루지 말고 국가가 나서서 판단하고 치료를 할 수 있는 ‘국가책임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