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치매 대책의 방향성과 목표 등을 담은 ‘치매 대강(大綱)’의 원안을 전문가 회의에서 처음으로 공개했다.

치매 환자와의 ‘공생’과 함께 ‘예방’ 대책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치매는 예방할 수 있는가? 예방할 수 있다면 무엇을 하면 좋은가? 치료약 연구 개발에 관한 최신 정보와 함께 해설한다.

“‘예방’이라는 말을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면 치매는 예방할 수 없습니다”

오비린 대학(도쿄)의 스즈키 타카오 노년학 종합연구소장은 이렇게 전제하고 말을 이어갔다. “발증을 지연한다는 의미라면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습니다”
예방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는 ‘개입형 연구’가 필수다.

예를 들면 ‘어떤 집단을 제비뽑기로 A와 B로 나누고, A는 특정 운동을 정기적으로 계속하고, B는 운동을 하지 않는다. 몇 년 후 A의 치매 발증률이 B에 비해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정도로 낮다면 운동의 예방 효과가 증명되게 된다.

이러한 개입형 연구는 그것을 실시하기 어려워 치매 발증의 예방 효과가 증명된 것은 아직 없다고 한다.

한편, 치매에 걸리기 쉬운 리스크(위험인자)를 발견하는 ‘관찰형 연구’는 많다. 어떤 집단을 장기간 관찰하여 치매에 걸린 사람과 걸리지 않은 사람 사이에 생활습관, 다른 질병, 학력 등이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는 것이다.

영국 의학지 ‘란셋’은 2017년, 세계의 여러 연구를 해석하여 치매 예방 가능성이 있는 9개의 리스크를 발표했다(표 참조). 중년기에 고혈압을 치료하면 치매 발증률을 2% 줄일 수 있고, 고령기에 운동 부족을 해소하면 3%, 9개 리스크 전부를 없애면 35%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이다.

또한, 발증 예방이 아니라 ‘인지 기능 저하’ 예방 효과를 보여주는 개입형 연구는 일본 국내외에 많다.

국립장수의료연구센터가 숫자 계산 같은 두뇌 체조와 전신운동을 동시에 하는 ‘코그니사이즈 운동’에 관하여 경도 인지 장애(*)인 고령자 100명을 대상으로 개입형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인지 기능과 뇌 위축에서 개선이 보였다. 인지 기능 저하를 막을 수 있다면 치매 발증을 지연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WHO(세계보건기구)는 2019년 5월 치매 예방 가이드라인(지침)을 발표했다. 여기서 강력하게 권장하는 것은 건강인의 ‘운동’과 흡연자의 ‘금연’, 고혈압 환자의 ‘강압(降壓)’과 당뇨병 환자의 ‘치료’이다.

‘건강하게 균형 잡힌 식사’, ‘(올리브유를 사용한) 지중해식’은 조건부로 권장하고, 비타민과 불포화지방산 등의 영양제는 권장하지 않았다.

이번 대강안(案)에서는 ‘70대의 치매 환자 비율을 2025년까지 6% 줄인다’와 같은 수치 목표를 내걸었다. 이에 대해 치매 당사자·지원자 단체로부터는 ‘예방이 강조되면 치매에 걸린 사람은 노력이 부족하다는 말을 들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의견도 들렸다.

확실히, 확립된 예방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치 목표를 내건 점에는 의문이 남는다. 란셋의 발표를 뒤집어 보면 9가지 리스크를 모두 없애도 치매에 걸릴 확률은 65%이다. 가장 큰 발증 리스크는 ‘장수’이며, 노력해도 발증은 면할 수 없을지 모른다.

스즈키 소장은 “정부는 치매를 예방한다는 의미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국민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입수하고 예방 가능성이 높은 방법을 스스로 선택해서 노력하면 된다”고 말했다.

*경도 인지 장애: 기억력과 주의력 등의 인지 기능은 저하하고 있으나,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나타나지 않은 상태. 치매와 정상의 중간을 가리킨다.
<출처: 요미우리신문>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