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임산부의 나이와 인구구조에 따른 분만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15년 현재까지 지난 10년간의 임신 및 분만 경향을 분석한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 연도별 분만현황 및 21~42세 분만현황

결과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분만평균연령은 2006년 30.3세에서 2015년 32.2세로 1.9세 증가했다. 이중 35세 이상 분만비중은 13.7%(2006년)에서 27.6%(2015년)로, 40세 이상 분만비중은 1.2%에서 3.0%로 각각 증가했다.

분만건수는 2006년 431,559명에서 지난해 428,319명으로 0.8% 감소하였으나, 실질적인 가임여성인 24~38세 사이 건강보장 여성 수가 지난 10년 동안 6,254천 명에서 5,319천 명으로 15.0% 감소해, 2010년 인구구조로 표준화한 분만율은 2006년 4.05%에서 2015년 4.54%로 1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소득수준은 2006년에는 3분위 26.2%를 중심으로 중간층에 골고루 분포한 데 반해, 2015년에는 4분위 33.8% 등 고소득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한 직장 여성이 분만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2006년 67.3%에서 2014년 73.9%로 9.9% 증가하였으며, 출산 1년 후까지 직장을 유지하는 비율은 62.9%에서 2014년 69.7%로 10.8% 증가해 일-가정 양립 정책의 긍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난 10년간의 출생 및 분만 변동뿐만 아니라 가임여성 인구구조의 변동을 고려할 수 있는 모니터링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건보공단 성상철 이사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자격, 진료를 망라하고 있어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의 출산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