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직무대행 김초일)은 ‘보건산업 대국민 인식조사’ 연구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일반국민(1,000명), 산업계(300개 업체), 의료계(200명) 등 총 1,500명을 대상으로, ▲보건산업에 대한 인식 ▲첨단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경험과 인식 ▲보건산업 정책에 대한 인식 ▲코로나19 상황 하에 보건산업에 대한 인식 등 4개 영역, 총 17개 문항에 대해 지난해 9월 2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실시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이번 조사의 배경에 대해 기술 발전에 따른 패러다임 변화에 코로나19의 충격까지 더해진 보건산업의 환경변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조사라고 설명했다.

▲ 보건산업의 긍정적 인식 정도

조사결과 보건산업의 중요성에는 공감하고, 정부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일반국민은 향후 중요성이 커질 것(85%), 정부지원 필요(84.5%), 감염병 사태 대응에 중요한 산업(81.8%)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산업계는 정부지원 필요(95.4%), 글로벌 경쟁 격화될 것(93.6%), 향후 중요성 커질 것(92.3%) 순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계는 감염병 사태 대응에 중요한 산업(90.5%),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90%), 향후중요성 커질 것과 정부지원 필요가 각각 88%로 나타나 우선 순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첨단 보건의료기술 활용에 대한 우려

첨단 보건기술 활용에 대한 우려는 일반국민과 의료계가 비용에 대한 부담(일반국민 69.6%, 의료계 68%), 안전성에 대한 검증 부족(일반국민 65.9%, 의료계 57.5%), 효과에 대한 검증 부족(일반국민 40.9%, 의료계 49.5%) 순으로 우려 순위가 나타났지만, 산업계는 안전성에 대한 검증 부족(66%)을 우선 순위로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첨단 보건의료기술 활용에 대한 우려

보건산업 규제로 인한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는 안전성 각 일반국민, 산업계, 의료계 모두 안정성 문제를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했지만, 후순위로 일반국민은 첨단기술을 규제가 따라가지 못함(21.9%), 이해관계자의 저항(20%)이라고 답변한 반면, 산업계는 이해관계자의 저항(21.7%), 규제에 대한 이해 부족(7.7%)로 나타났고, 의료계는 이해관계자의 저항(25%), 첨단기술을 규제가 따라가지 못함(24.5%) 순으로 나타났다. 

▲ 첨단 보건의료 기술의 규제갈등 해소를 위한 중요과제

첨단 보건의료기술의 규제 갈등 해소를 위한 중요과제에 대해서는 각계의 시각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일반국민은 전문가 집단의 검증(34.5%), 일반국민에 대한 교육과 홍보(26.2%), 사회적 합의의 장 마련(22.4%)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산업계는 사회적 합의의 장 마련(42.7%), 일반 국민에 대한 교육·홍보(25%), 전문가 집단의 검증(18.3%)로 나타났고, 의료계는 전문가 집단의 검증(33%), 사회적 합의의 장 마련(29%), 규제 샌드박스를 통한 단계적 접근(15%)을 우선 순위로 꼽았다.

진흥원 보건산업혁신기획단 한동우 단장은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예상치 못한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지금은 이러한 경험과 인식에 대한 정확한 조사를 통해 새해는 물론 이후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새로운 준비를 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번 조사를 통해 국민, 산업계, 의료계에서 필요로 하는 이슈들을 파악하고, 2021년 사업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점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번 인식조사는 코로나19의 영향이 컸던 만큼, 향후 정기적인 조사를 통해 보건산업 전반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변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