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약품정책연구소(소장 박혜경)은 「치매 국가 책임제」가 실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약국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약국이 효율적인 지역사회통합돌봄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약국 치매관리 서비스 모델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대한민국의 고령인구 비율은 매울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2045년에는 세계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가장 많은 국가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대표적 노인 질환인 치매유병률도 급속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65세 이상의 10.3%에 달하고 있는 치매환자수가 오는 2025년에는 1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지난 2017년 「치매 국가 책임제」를 도입해 전국 256개소의 치매안심센터가 설립됐고, 국가 차원에서 치매 극복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등 노력하고 있지만, 현재까지는 지역사회의 약국과는 협력체계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치매정책의 종합전략으로 ‘신오렌지플랜’등을 통해 치매 의심환자의 조기 발견을 통해 연계대응이 가능한 지원팀에 약사를 포함시키고 있고, 영국의 경우에도 치매친화약국(Dementia Friendly Pharmacy)으로서 치매를 가진 환자들의 접근성을 고려해 약국 환경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 있으며, 약사와 약국 종사자가 치매 환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환자응대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영국은 더 나아가 치매안심마을(Dementia Friendly Community)과 지역 약사위원회가 치매 협력체로서 역할 수행을 위한 치매 친화 훈련을 하는 등 치매 친화서비스와 더불어 지역사회서비스로서의 연계를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의약품정책연구소는 “다른 나라에서는 이처럼 노령화 시대에 급격히 증가하는 치매환자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의 약국 및 약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2017년 치매국가관리제가 시행된 이래 아직까지 약국의 역할을 찾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대응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상시적이고 효율적인 지역사회통합돌봄 체계 구축의 일환으로서 약국에서의 치매관리 서비스 모델 개발이 이루져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