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우울증, 자폐증, 조현병 등 대부분의 정신 질환이 뇌의 시냅스 접착단백질의 기능 이상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뇌는 뉴런이라 불리는 수많은 신경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경세포는 수천 개의 다른 신경세포들과 시냅스를 형성하여 다양한 신경회로를 만들고, 이를 통해 학습, 기억 등의 모든 뇌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정보전달의 기본단위로 전시냅스(presynapse)와 후시냅스(postsynapse)로 구성되 어 있으며, 신경세포 간의 정보 전달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뇌 기근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신경회로가 올바르게 연결되어야 하고, 이때 시냅스가 제 기능을 해야 하지만, 시냅스 기능 이상, 즉, 시냅스 접착단백질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면 신경회로 연결에 문제가 생기고 뇌질환이 일어나는 것으로 시냅스 접착 단백질의 기능을 온전히 알게 되면 뇌질환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데 기여할 수 있지만, 접착단백질의 세부 기능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원하는 보건의료인재양성지원사업(세계선도의생명과학자육성)으로 수행된 연구에서, 연구팀이 해마(hippocampus : 기억의 저장과 상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뇌영역)의 특정 신경회로 내에서 시냅스 접착단백질 PTPσ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세계 최초로 입증하여 뇌질환 치료를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덕철)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뇌·인지과학전공(고재원 교수),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최세영 교수) 공동연구팀이 “뇌 신호 전달을 지휘하는 핵심 단백질 PTPσ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 고재원 교수 / 사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팀은 시냅스 접착단백질 중 하나인 PTPσ 조건부 녹아웃(conditional knockout: 특종 조직에서 특정 시간에 유전자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조작한 형질전환동물) 마우스를 이용하여 PTPσ가 전시냅스 접착단백질로서 신경전달물질(neurotransmitter : 시냅스 전달 과정에서 신경세포 간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물질, 전시냅스에서 나온 신경전달물질을 후시냅스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가 받아 신경전달이 일어남) 방출을 지휘하는 핵심인자임을 확인해냈다.

또한 해마 내 특정 신경회로에서 PTPσ 단백질이 후시냅스 글루탐산 수용체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PTPσ가 글루탐산 수용체 반응을 조절한다는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로, 동일한 시냅스 단백질이 같은 뇌영역 내 다른 신경회로에서 각기 다른 작동기전을 통해 시냅스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시냅스 작동 모델을 제안해 낼 수 있었다.

DGIST 고재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신경계 발달에 관여하는 시냅스 접착단백질 PTPσ의 보편적 기능뿐 아니라 해마의 특정 신경회로 내 기능도 세계 최초로 입증하였다. 향후 뇌질환 치료를 위한 실마리를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