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있었던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 기자회견 뒤 이어진 문답시간에 중앙임상위원회는 현재 치료제로 지목받고 있는 렘데시비르(에볼라바이러스 치료제), 칼레트라(에이즈 치료제), 인터페론(면역증강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말라리아치료제)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이 임상실험에 들어갔다고 인정한 렘데시비르와 중앙안전대책본부가 보도자료를 통해 대구 경북지역에 지원목록으로 알려진 칼라트라와 인터페론,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등은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검증된 안정성과 비용과 시간의 이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코로나19 치료제로 비슷한 전염병 치료제를 통한 시도는 신약을 만드는 것보다 치료에 대한 시간과 비용적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인체에 투입했을때 안전에 대해 검증된 바가 적기 때문에 동물 실험이나 안전성 실험이 완료된 약물 우선 순위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대병원의 임상실험과 식약처 치료 허가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렘데시비르는 에볼라치료제로서 에볼라바이러스에는 큰 효과는 없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동물실험에서 코로나바이러스에 가장 치료 효과가 좋게 나타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했지만, 경과는 기다려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방지환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은 렘데시비르가 안전성은 어느정도 입증 된 약으로, 에볼라에는 그다치 큰 효과는 없었지만 코로나에는 효과적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 4가지 약제를 사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비슷한 바이러스에 대한 동물실험 결과가 있기 때문이고, 다른 약들은 이 약재들에 비해 임상 자료가 적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전범식 중앙의료원 감염내과 전문의는 렘데시비르를 통한 13명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고, 치료를 시도한 4명에게서 부작용이 두드러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다고 말했지만, 수가 너무 적기 때문에 경과는 기다려봐야 한다고 했다.

임상실험에 대한 결과는 빠르면 5월 중에 나올 것으로 보이며, 임상실험의 의미도 있지만 치료가 목적이므로 추가 임상시험 대상을 넓힐 계획도 있다고 덧붙였다.

약물의 효과가 입증 됐을시 재고량에 대한 지적에 대해서 방지환 중앙감염병원운영센터장은 하이드록시클로로퀸(말라리아치료제)와 칼레트라(에이즈 치료제)에 대해서는 재고가 어느정도 확보가 돼 있지만, 약품 부족은 중앙임상위원회가 아닌 국가와 식약처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