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비뇨기과학회 민승기 보험이사/ 사진= 김이슬 기자

비뇨의학과 전공의 지원 기피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수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비뇨기과학회는 29일 더케이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와 같이 주장했다.

대한비뇨기과학회는 내년도 전공의 모집에서도 미달에 그친 것은 수가가 낮아서라는 주장과 함께, 외과나 흉부외과의 수가 가산제 대상에 비뇨의학과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했다.
 
학회에 따르면 비뇨의학과 전공의 충원율은 2014년 26.1%(정원 92명 중 24명), 2015년 41.4%(87명 중 36명), 2016년 37.8%(82명 중 31명), 2017년 50%(50명 중 25명), 2018년 58%(50명 중 29명)다. 전체 정원 감소에 따라 비율은 오르고 있지만 총원을 채우기에는 역부족이다. 

비뇨기과학회 천준 회장은 “일단 총원 50명 중 34명이 지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도 추가모집보다 많은 수치로 고무적인 변화다. 하지만, 추가모집에는 보통 5명 정도가 더 지원하는데 그럼 40명으로 충원율이 80%가깝다. 그러나 미달 상황은 여전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인 전공의 특별법이 전면 시행돼 전공의 수련시간이 주당 80시간으로 제한까지 되면서 비뇨의학과는 더더욱 어려운 환경에 처했다.”고 덧붙였다.

이 때문에 ‘수가 인상’은 필수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외과나 흉부외과에서 시행되었던 정책적인 수가 가산 제도를 비뇨의학과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승기 보험이사는 “현재의 박리다매식의 한국의료체계 및 상대가치점수 산정 방식에서는 무조건 손해를 가져오게 된다.”며 “비뇨의학과 수술의 경우 매우 노동집약적이며 많은 장비와 시설이 필요하지만 이런 부분들을 현재의 상대가치점수에 반영이 전혀 되어있지 않고 개선하려는 노력도 미미하다.”고 밝혔다.

민 이사는 “이런 현실은 병원에서 진료 과의 낮은 수익과 연결이 되고 이는 다시 병원에서 부족한 인력을 충원해주지 않는 결과로 이어진다.”며 “병원에 근무하는 비뇨기과 의료진에게 상대적으로 더 열악한 근무 환경이 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과 같다.”고 부연했다.

학회는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하면서 노인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고려할 때, 비뇨의학과 진료 공백은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인층에 가장 먼저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 이사는 “비뇨의학과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전립선비대증도 대표적인 노인 질환이다. 전공의 충원 문제를 획기적으로 바꾸고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정부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꼭 필요한 상태”라면서 “더 이상은 우리나라 미래의 의료인력 균형 수급에 방관해서는 안 되며 조속히 비뇨의학과 수가를 과거 일반외과, 흉부외과와 같은 정책적 수가 가산이 시급히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