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더 이상 65세 이상 고령자가 아닌 ‘전 연령층’을 위한 커뮤니티케어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행을 위한 도약을 꿈꾸고 있다.

미래를 대비해 장기간에 걸쳐 커뮤니티케어를 논의한 결과로, 이는 커뮤니티케어를 막 시작한 단계인 우리나라보다 훨씬 앞선 결과다. 

우리나라도 ‘커뮤니티케어’의 방향과 목표 개념은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으며, 방문간호 서비스를 비롯해 각종 전문화된 간호 지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또한 현장 방문 사업이 체계를 갖춰가면서 대상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일본의 ‘커뮤니티케어’에 비하면 여전히 우리나라의 ‘커뮤니티케어’ 의 수준은 걸음마단계 수준이다.

우리나라 커뮤니티케어에 해당하는 일본의 ‘지역포괄케어 시스템’은 일본 베이비붐 세대가 75세 이상이 되는 2025년을 목표로 중증의 요개호 상태가 되어도 살전 지역에서 자신다운 삶을 마지막까지 이어갈 수 있도록 의료·개호·예방·주거·생활 지원이 포괄적으로 보장되는 체제를 말한다.

이 과정에서 의사·약사·간호사·케어매니저·사회복지사 등 다양한 직종 간의 협업이 필수적으로 이뤄진다.

시대 변화에 따라 돌봄은 온전히 가족의 책임으로 돌릴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양한 직종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빠르게 인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 일본은 한 단계 더 진화된 ‘전 연령층 커뮤니티케어’를 내다보고 있다.

▲ 게이오대학 대학원 건강 매니지먼트 연구과 홋타 사토코 교수/ 사진= 김이슬 기자

게이오대학 대학원 건강 매니지먼트 연구과 홋타 사토코 교수에 따르면 일본은 청년인구가 감소하면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케어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중요한 시기에 직면했다.

홋타 교수는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계급이 발생하면서 이는 보건의료제도까지 영향을 미친다.”면서“결국 개호 케어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고령자뿐만이 아니다.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 계급에 의해 건강 격차가 심해짐에 따라 전 연령대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대로 방치하면 사회적으로 큰 과제에 당면하게 된다.”면서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개호보험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은 의료의존도가 높은 장애아와 그 가족을 모두 지원하는 다기능의료시설이 생겨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포괄시스템을 통해 사회적 비용도 감소된다고 했다.

상담할 곳이 생김과 동시에, 안심이 되면서 구급차를 부르는 등의 일이 발생하지 않는 다는 것이 그 이유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현 ‘커뮤니티케어’에 관해 지역과 가정에서 체계적인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간호사 인력이 확보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한국의 경우 방문간호 활약하는 분이 100명 정도라고 알고 있다. 일본은 135만 명 정도다.”며 “100만 명 정도는 병원에서 34만 명은 보건소 방문간호사로 활약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전히 병원에서 활약하는 간호사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어떻게 간호사를 늘려갈 것인지 연구한다.”면서 “다른 기관과의 인사교류를 넓혀 가는 등 지역과 장소를 뛰어넘어 여러 장소에서 활약할 수 있는 간호사의 장을 넓혀나가는 사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좋은 선례를 걷고 있는 일본을 따라 우리나라도 비록 시간이 걸리더라도, 결국은 ‘전 연령층 커뮤니티케어’를 내다봐야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