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결핵 후진국이라는 불명예를 벗기 위한 본격 신호탄을 알렸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2일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될 ‘제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 2013년 ‘제1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해 2020년까지 결핵발생률을 2011년 대비 절반인 10만 명당 50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지난 5년간 결핵관리 대책을 시행해왔다.

그 결과 2000년 이후 좀처럼 줄지 않던 결핵 신환자율(10만 명당)이 2011년 이후 연평균 5.8% 감소했고, 2017년 결핵 신환자수가 처음으로 2만 명대로 진입했다.

그러나 인구 고령화로 노인 결핵 발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인 결핵환자도 증가해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우리나라는 2016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결핵 발생률이 77명, 사망률이 5.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 2위인 라트비아(결핵 발생률 37명·사망률 2.8명)의 2배가량에 이르는 수치다. OECD 평균 결핵 발생률은 11.7명, 사망률은 1명이다.

▲ 자료제공= 보건복지부

이번 2기 계획은 ‘결핵 없는 사회, 건강한 국가’를 비전으로 ▲조기 발견을 통한 전파 차단 ▲환자 중심의 관리와 지지 ▲연구개발 및 진단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등 4개 분야에서 5년간 중점을 두어 추진할 대책들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2022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현재의 절반 수준인 인구 10만 명당 40명으로 낮추고, 나아가 2035년에는 결핵 퇴치 수준까지 감소시킬 계획이다.

우선 노인 결핵 발생이 많은 지역에서 지자체와 협력해 노인 의료급여수급권자 등을 대상으로 결핵검진을 실시한다. 국내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에서도 결핵 및 잠복결핵감염 검진 시범사업을 시행해 결핵환자 조기발견으로 국내 결핵 전파를 차단한다.

결핵 감염에 취약한 영유아, 청소년, 노인 등과 접촉빈도가 높은 방과 후 교사, 간병인 등 직업군에 대한 결핵검진 등 관리체계도 마련한다. 노숙인, 쪽방거주자 등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이동결핵검진을 시행하고 이를 점차 확대한다.

잠복결핵 감염을 치료하는 의료기관을 기존 370개소에서 460개소로 확대하고, 부작용 발생에 대한 모니터링과 역학조사를 강화해 잠복결핵감염 치료기반을 조성한다.

환자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권역별 민간·공공협의회에 환자사례 관리팀을 구성하고, 결핵환자에 대한 개별 위험요인을 평가하며, 철저한 사례 상담과 지원 등으로 환자 맞춤형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노숙인 등 취약계층 결핵환자의 치료중단을 예방하고 치료성공률을 제고하기 위해 보건·복지·의료 부문이 통합·연계된 지역사회 기반 결핵관리사업 모형을 개발한다. 또 결핵환자의 가족에 대한 결핵검진을 강화하고, 집단시설 결핵 역학조사 실시 기준을 현행 전염성 결핵에서 비전염성 결핵으로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결핵 치료제 개발과 기초연구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결핵예방백신(BCG) 수급 불안정을 해소하고 백신주권 확립을 위해 2020년 개발·허가를 목표로 추진 중인 피내용 BCG백신 국산화를 차질 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 자료제공= 보건복지부

또한 전문지식 향상과 원활한 사업 추진기반 조성을 위해 의료인, 시·도 보건소, 사업담당자 등의 교육과 결핵예방 대국민 홍보를 강화한다. 국제적으로는 전문가 자문그룹에 참여하고, 국제회의를 공동 개최하는 등 세계보건기구(WHO)와 같은 국제기구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이번 2기 결핵관리종합계획의 촘촘하고 구체적인 시행을 통해 결핵으로 인한 국민적·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결핵 없는 사회, 건강한 국가’가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결핵을 극복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세상에서 국민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정부와 의료계, 학계, 지자체, 일선 보건소 등 현장에서 비상한 각오로 결핵퇴치를 위해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