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서울의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토론회가 열렸다/ 사진= 김이슬 기자

서울시에서 소득이 낮은 시민들은 높은 시민들보다 건강하게 사는 기간이 10.9년 짧고, 수명은 5.8년 짧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해 보건의료 단독이 아닌 노동과 교육현장의 공공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서울시의 기대수명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소득에 따른 기대수명 격차는 가장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2014년 이후 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1서울경기 시민사회연대 모임과 한국건강형평성학회는 18일 오후 2시 NPO센터 2층에서 서울의 건강불평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토론회를 열고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전문가들의 지혜를 모았다.

▲ 이화여자대학교 정최경희 교수/ 사진= 김이슬 기자

이화여자대학교 정최경희 교수가 발표한 건강격차 프로파일에 따르면, 서울시의 건강수명(남녀전체)은 69.7세다. 그 중 서초구가 74.3세로 가장 높았으며 금천구는 67.3세로 가장 낮게 기록됐다.

또한 서울시에서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 기대수명에도 격차를 보였는데 소득 5분위 간 기대수명 격차가 가장 작은 지역은 강동구로 격차는 3.8세이며, 격차가 가장 큰 지역은 중구로 격차는 8.8세였다.

정 교수는 “2004년부터 2015년까지 소득 5분의 간 기대수명 추이를 보면 소득하위 20%는 OECD 나라에 한참 미치지 못한다. 서울시는 전국적으로 단연 높은 기대수명을 보이지만 세계 기준으로 보면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의 소득 간 기대수명 격차 5.9세 중 뇌혈관장애는 0.58세, 자살 0.47세, 폐암 0.30세, 당뇨 0.28세로 격차 기여 원인으로 꼽히는 만큼 이들 4개 사망원인에서 소득 간 격차를 없애면 격차의 27.6%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시군구별 지역박탈지수와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은 차이가 있지만 그 격차는 비슷한 수준이다. 이는 건강불평등의 근원이 사회구조요인 때문이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며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격차는 서울시내 모든 자치구에서 확인되고 범위가 넓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실 서울시에서 건강격차 문제는 2011년 말부터 보건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이다. 2012년 말에는 서울시 건강격차 해소를 위한 보건 정책 방안 연구 보고서가 마련됐을 정도로 시민 삶의 질을 해결하기 위해서 꾸준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건강격차 해소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사업 마련이 처음보다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박유미 과장/ 사진= 김이슬 기자

이에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 박유미 과장은 영국의 사례를 설명하며 현 서울시 보건의료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박유미 과장에 따르면 런던 플랜에서 건강불평등 정책으로 기대여명 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사업으로 저소득지역의 건강수준은 좋아졌지만, 결과적으로 소득별 격차는 줄이지 못했다.

박 과장은 “우리나라도 그렇고 서울시도 그렇고 건강불평등 인식 자체는 높아지고 있다.”며 “그러나 건강격차는 단순한 보건·의료 문제가 아니라 환경, 고용 등 사회적인 문제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며 “서울의 건강격차 해소 문제는 여전히 아쉽고 숙제가 많다.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추진을 하면 건강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