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겨울이 되면 일조량과 활동량이 줄어들며 멜라토닌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분비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신체 리듬이 깨지면서 우울함을 느끼는 이들이 늘어나곤 하는데,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흥미나 기쁨이 사라지고 울적함을 느끼거나 의욕 저하, 피로감 등을 겪는 정신 질환인 우울증은 어른뿐 아니라 청소년, 심지어 소아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김의정 교수/ 現 이대목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최근 ‘마음의 감기’라 불리는 우울증이 아동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2017년)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울증 진단을 받은 10대는 2만 2,514명, 9세 이하는 905명으로 집계되었다.

소아 우울증은 성인의 우울증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성인과 마찬가지로 사소한 일에 울음을 터뜨리고 침울해하며 의욕이 없다는 공통점도 있지만, 성인들은 좋아하는 일에도 심드렁해지고 어떤 일에도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는 반면, 아이들은 재미있는 일에는 반응을 보인다.

이 때문에 우울증이 있는 아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TV나 휴대폰 등 몇몇 일에는 유독 집중하고 자꾸 재밋거리만 찾게 된다. 이는 무언가에 몰입해서 내면에서 올라오는 불편한 감정을 그대로 느끼지 않으려고 회피하는 모습이다. 반대로 조금이라도 지루하고 재미가 없으면 그 상황을 견디지 못해 짜증을 부리고, 예전에 충분히 해냈던 일도 귀찮아하거나 금방 포기해버리는 부정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이러한 아이의 행동에 단순한 응석이나 이른 사춘기 증상으로 치부하며, 자녀가 우울증에 걸렸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소아 우울증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일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짜증 또는 과격한 반응이 관찰되거나, 또래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증상, 재미있어 하던 놀이나 일에 흥미를 보이지 않는 경향 그리고 아이의 성적이 갑자기 떨어질 때는 소아 우울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성인과 달리 소아 우울증은 ‘기면성 우울증’이라 불릴 만큼 겉으로는 아이의 우울감을 알아내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부모 중에는 아이가 평상시와 달리 짜증이 많아진데다 자주 울거나 침울해하고, 이유 없이 여기저기 아프다고 보채면 오히려 아이에게 화를 내고 질책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겪게 된다면 아이의 행동을 유심히 살피고 충분한 대화를 통해 무슨 일로 마음에 상처를 입었는지 아이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이의 우울증 치료에 있어 부모가 아이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초반에는 아이가 부모가 곁에 머무는 것을 조금 귀찮아할 수도 있지만, 익숙하지 않더라도 아이가 즐기는 놀이를 함께해 보고 관심사를 파악해 대화를 나누며 아이의 이야기에 호응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부정적으로만 생각하는 아이에게 잔소리나 훈계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친구가 주말 약속을 거절해 자녀가 친구를 원망하고 자신을 한탄한다면, 아이가 기분이 상한 원인에 대해 대화를 나눈 후 친구의 거절 이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설명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주말을 어떻게 보낼 지 계획을 세우며 대안적인 사고를 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도 효과적이다.

아이들의 행동에는 분명 이유가 존재하고 이를 이해하고 문제를 풀어나가는 것이 바로 부모의 역할이다. 특히 정신적인 어려움이 있을 때 아이들의 이상 행동은 부모가 이 어려움을 알아주길 바라는 아이의 또 다른 표현일 수 있다.

부모는 꾸준한 관심으로 아이의 기분을 헤아리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놀이나 대화 등을 함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만약 부모의 노력만으로 아이의 정신적 어려움 해소가 잘 안 될 경우에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