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새 자살률이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대 초반 자살률이 1980년대 후반에 비해 자살률이 세 배 이상 증가했으며, 30년 전엔 20, 30대가 전체 자살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엔 40대 이상이 비중이 더 높아졌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서울대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박상화 박사팀이 통계청의 사망 통계를 이용해 자살 양상이 25년의 시차를 두고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연령 구조가 고의적 자해 사망률에 미치는 기여 효과, 1985∼89, 2010∼14)는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1985∼89년엔 2, 30대 자살이 전체 자살의 50% 이상(남 50.1%, 여 50.4%)이었다. 2010∼14년엔 전체 자살에서 2, 30대의 비율은 줄고 4, 5, 60대의 비율이 늘었다.

자살률(10만명당 자살자 수)은 1980년대 후반 8.2명에서 2010년대 초반 29.6명으로 3.6배나 증가했다. 이 기간에 남성은 3.4배, 여성은 4.1배 자살률이 높아졌다. 여성의 자살률 증가 속도가 남성보다 빨랐다.

여성 자살률의 증가 속도는 가파르게 올라가면서 자살 성비(性比, 여성 자살 1건당 남성 자살 발생 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 후반엔 자살 성비가 2.59였으나 2010년대 초반엔 2.16으로 낮아졌다. 특히 자살 성비가 19세 이하 연령대에선 1.90에서 1.30, 2, 30대에선  2.47에서 1.58로 감소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성별·연령별로 적절한 자살 예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며 “특히 40대 이상 남성의 자살률 감소를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아시아 지역 17개 국가 중 자살률이 10만 명당 31명으로 가장 높다. 무슬림 국가인 이란·파키스탄·사우디아라비아·터키 등은 상대적으로 낮아 6.5명 미만이다. 국내 자살률(10 만 명당)은 2000년 13.6명에서 2011년 31.7명으로 최고점에 도달 후 2012년 28.1명, 2013년 28.5명, 2014년 27.3명으로 최근 정체 상태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