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비즈엠디 한국의약통신(대표 정동명)은 12월 1일 팔레스호텔 지하1층 제이드룸에서 최근 출간된 ‘알기 쉬운 약물 부작용 메커니즘’ 출판 기념 세미나 ‘2016 복약지도 NEW 세미나: Patient Safety, 약사의 약물 부작용 케어를 논하다’를 열고 부작용 보고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에 본지에서는 5회에 걸쳐 이날 부작용 보고의 중요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를 기획특집으로 게재한다<편집자주>.

<1> 약국부작용보고 현황과 상담의 연계성
<2> 프로그램으로 관리하는 약물부작용 커뮤니케이션: 일본 사례를 통해 본 Proposal
<3> 약물 부작용 관찰부터 상담관리와 약사 신뢰의 상관성
<4> 약물 부작용 실제 사례로 본 증상 분류
<5> 약물 Effect-Side effect 균형있는 상담

이날 세미나의 마지막 연자로 나선 인천시약사회 김명철 약학이사(동산온누리약국)는 ‘약물 Effect-Side effect의 균형있는 상담’을 주제로 환자에게 약물 부작용 안내를 위한 교육 방향에 대해 제언했다.

김 이사는 “의약분업이 시행된지 16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약국가에서는 약물의 효능과 관계된 교육만 추구하고 있다”며 “약사가 약물의 감시자로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는 효능과 부작용에 대한 균형 있는 교육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하지만 부작용만 강조하면 환자들의 복약순응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균형 있는 교육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이사는 이에 대해 부작용 보고를 받는 기관이나 부작용 사례를 모으는 곳에서 통계만 낼 것이 아니라, 실제 사례를 발표하고 서로 공유하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고 말했다. 부작용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임상 약사들이 지속적으로 보고하고 연구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것.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이런 일련의 과정이 몸에 배게 해야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이어 김 이사는 “이 책의 감수를 맡게 된 것은 일본 약사들의 실제 사례를 다루고 있고, 거기에 대한 병태생리학적인 설명이 자세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라며 “약사회에서 이런 콘텐츠를 어떻게 약사들의 교육에 활용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일단 강의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겨울부터 자료를 만들어 부작용 강의에 나설 생각”이라며 “대한약사회가 나서 각 지역에서 부작용 보고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주셨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