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6명 중 1명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0년 전인 2005년에 비해 약 1.3배 증가한 수치다. 반면 소아청소년 비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신체활동 실천율은 여전히 이를 밑돌고 있어 국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대한비만학회(이사장 유순집)는 10월 11일 ‘비만 예방의 날’을 맞이해 정책토론회를 열고 소아청소년 비만을 낮추고 신체활동을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논의했다.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소아청소년 비만율 변화(출처: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제11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15))

▲ 우리나라와 미국 청소년 신체활동 실천율 비교(출처: 교육부·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 제11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2015))

학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12~18세 청소년 전체 중, 필요운동량을 실천하고 있는 경우는 14.2%로, 7명 중 1명만이 하루 60분 이상 숨이 가쁜 정도의 신체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국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 48.6%와 비교했을 때 1/3 수준이다.

▲ 정소정 교수

이날 발제를 맡은 건국대학교 정소정 교수(소아청소년과)는 “우리나라 아동의 생활패턴을 타 국가와 비교하면 학습 시간은 가장 길고, 운동 시간은 가장 짧다”며 “주 5일제 수업 도입 이후 사교육 할애 시간은 오히려 증하고, 상대적으로 운동시간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정 교수는 “아동과 청소년들은 학교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서 있어 학교의 역할이 중요한데,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비만 예방을 포함한 건강생활에 대한 교육과 기술 습득이 절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생활 속의 자연스런 체육 활동 부족, 공공복지 공중보건 관점의 아동 청소년 신체활동 증진 정책의 부재 등을 꼬집으며 개인의 노력뿐이 아니라 충분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을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 오상우 교수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오상우 교수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Let's move’라는 비만 예방 캠페인을 통해 방과 후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교 수업 전 신체활동 프로그램 등을 구성,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생활을 보내고 있는 장소에서 신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다.

핀란드의 경우 교육문화부에서 청소년 정책 관련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각 지방 행정부에 정부예산을 지원하고, 영국의 경우 청소년 활동 공간 확보를 위한 정부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또 다양한 학교체육활동 지원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체육활동 참여를 도모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도 소아 비만율이 증가하자 초, 중등학교 교과과정을 개선하고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제정했다.

▲ 권병기 과장

보건복지부 권병기 건강증진과장은 “비만이라는게 궁극적으로는 개인의 역량 활동으로 되는것이지만 개인에게 맡겨둘 수만은 없는 것이다. 사회적 환경을 조성해야 하기 때문에 국가적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고 전했다.

권 과장은 비만에 대한 ▲정책기반구축 ▲국민 인식 개선 ▲국민실천 유도 ▲고도비만관리지원 등 4가지 스펙트럼을 제시했다.

그는 “예방의 필요성은 있지만 결과(비만)까지 안갔을 때 문제의식을 고취시키기 어렵다. 이 부분에 대해 여러 관계부터가 노력하고 있다”며 “비만에 대해서는 국민 인식이 정책 영향 많이 끼칠 것이다. 결국은 정부나 지역사회, 학회, 학부모, 학생 개인 단위의 참여와 노력이 필요하고, 그 첫 번째 단계가 인식”이라며 국민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