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년간 8천억투자했지만 보장률은 2012년과 같았기 때문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정춘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015년 12월에 발간한 「2014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2014년 4대 중증질환 건강보험 보장률은 77.7%로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이 시작되기 전인 2012년 보장률(77.7%)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암질환의 경우 2014년 보장률(72.6%)이 오히려 4대 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을 시작하기 전인 2012년(74.1%)보다 1.5%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을 세워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총125개 항목에 신규재정만 약8천억원을 투입했으나, 결과적으로 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에는 큰 도움되지 못했던 것이다.

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의 문제는‘보장률’ 뿐만이 아니다.

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정책은 특정질환만을 선택하여 혜택을 주고 있어 동일한 고액질병을 겪고 있더라도 4대중증질환이 아니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등 형평성을 저해하고 있었다.

실제로 고액 진료비가 소요되는 질병환자 10명 중 4명은 4대중증질환이 아니라는 이유로 본인부담률 인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환자당 진료비가 연평균 1천만원 이상인 질병의 환자 708,200명 중 4대중증질환에 포함되지 않는 환자는 43.3%인 306,496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고액질병환자 중 4대중증에 포함되지 않는 환자의 비율은 2013년 39.4%에서 2015년 43.3%로 3.9%p나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4대중증질환에 포함되지 않는 고액질병환자는 매년 증가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보장률도 크게 오르지 않고, 보편적 보장성 강화라는 건강보험원칙에도 위배되는 ‘4대중증질환 보장성 강화 정책’의 혜택은 어떤 사람들에게 많이 돌아갔을까?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저소득층인 건강보험료 1분위 대상 중 4대중증질환 대상자 비율은 4.2%(150,798명)이지만, 고소득층인 10분위 대상 중 4대중증질환 대상자 비율은 6.4%(461,625명)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암질환(2.1% vs 3.6%), 심장질환(0.2% vs 0.3%), 희귀난치성질환(1.9% vs 2.4%)에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정춘숙 의원은 “특정질환의 보장성을 강화해주는 4대 중증질환정책보다는 국민들의 소득수준과 부담해야 하는 실질적인 의료비에 따라 차등지원을 하는 등의 보편적 의료보장성 강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