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fampin, ethinyl estradiol 농도 감소시켜 다른 피임법 교육해야
혈전 생성 부작용 동반해 혈전성 동맥정맥염 환자에 투약 금지해야

우리가 약을 투약할 때 크게 2가지 이유로 투약을 합니다. 하나는 생사(또는 질병)의 문제, 또 하나는 삶의 질 문제로 투약을 합니다. 심각한 감염성 질환에서 항생제의 투약, 대사의 문제로 발생하는 혈압, 당뇨 등이 생사의 문제로 투약하는 경우이고, 급성 또는 만성 통증 환자에게 진통제 투약, 발기부전 환자의 비아그라 투약 등은 삶의 질 문제로 투약을 하는 경우입니다.

생명이란 것을 난자와 정자가 수정을 하는 단계부터 본다면 피임약은 생사의 문제에서 생명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수정란을 죽이는 것입니다. 하지만 삶의 질, 특히 여성 삶의 질(원치 않는 임신 등)을 생각한다면 피임약의 복용은 여성이 자기 몸을 사랑하는 첫 번째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피임약은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이므로 인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또한 많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임약으로 인한 많은 부작용에 대한 대처방법을 알아보고 피임약을 복용하는 여성들이 더 건강하게 복용하는 방법을 보겠습니다.

1. 피임약과 약물상호작용

피임약은 잘 복용을 하면 불임수술과 같은 효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만약 피임약의 복용을 잊거나 일부 약물의 복용은 피임약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피임약은 종종 위장관계 흡수 방해(설사, 구토 등), 장내 세균총 변화에 의한 위장관 운동 항진, 대사 및 배설의 변화 등으로 피임약의 효능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낮은 용량의 피임약은 여러 가지 이유(위장관 문제, 대사 및 배설 문제, 다른 약물 복용 등)로 피임효과가 반감될 위험이 높습니다. 피임약과 상호작용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콘돔과 같은 다른 피임법을 사용하도록 교육해야 합니다.

Rifampin은 피임약의 효과가 저해되는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다른 항생제들과 피임약에서는 일관된 상호작용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개별 환자들에 대한 케이스 보고서에서 tetracycline 및 penicilline유도체가 ethinyl estradiol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항경련제는 기형유발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Phenobarbital, carbamazepine, phenytoin 등을 피임약과 병용 투여하면 피임효과가 감소됩니다. 이런 여성에게는 고 에스트로겐 함유 피임약과 함께 콘돔을 사용하거나 프로게스틴 단일제 주사 혹은 자궁 내 장치 등의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2. Estrogen과 progesterone

인체에서 생성되는 estrogen은 estrone(E1), estradiol(E2), estriol(E3)입니다. estradiol은 SHBG(sex hormone binding globulin)과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유리 estradiol이 estrogen receptor(ER, DNA와 세포막에 존재)에 작용을 하여서 [표 2]와 같은 기능이 나타납니다.

Estrogen과 더불어 월경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호르몬이 progesterone입니다. Progesterone은 estrogen과 달리 2차 성징에 영향을 주는 것보다 주로 황체기 및 임신 시 분비량이 높으며 임신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호르몬([표 3] 참조)입니다.

피임약의 복용은 estrogen과 progesterone을 공급함으로써 HPG axis(Hypothalamic pituitary gonadal axis)을 억제(negative feedback)하여 배란과 수정을 막아 피임을 합니다. 인체는 인체의 호르몬 조절(HPG axis와 negative feedback)을 통해서 estrogen과 progesterone을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피임약의 복용으로 estrogen과 progesterone의 작용이 증가하게 됩니다. 피임약으로 인해 증가된 작용은 피임 이외에 건강상의 이득과 더불어 부작용도 가지고 있습니다.

3. Enterohepatic circulation

피임약(ethinyl estradiol)은 소장에서 흡수가 되고 간을 통과해서 혈중으로 들어가 target cell(생식기, 뼈, 간 등)에 그 작용이 나타납니다. 또한, estrogen(ethinyl estradiol 포함)은 간에서 대사를 받게 됩니다. 


Estrogen은 간에서 대사를 받게 되고 간에서 glucuronide와 sulfate에 포함이 되면 담즙산을 거쳐 소장으로 배설이 됩니다. 소장으로 배설된 estrogen 대사물은 장내 세균에 의해서 다시 대사를 받게 되고 그중에서 일부가 다시 재흡수(enterohepatic circulation)됩니다. 특히 간 대사를 느리게 받게 만든 합성에스트로겐인 ethinyl estradiol은 흡수부터 소장에서 흡수가 되며, 간에서 대사가 늦기 때문에 인체에서 생성된 estradiol에 비해서 더 많이 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간은 ethinyl estradiol의 영향을 받아 globulin의 생성과 혈액응고 인자를 증가시키고, 간에서는 약물의 배설 및 대사에 변화가 나타납니다.([표 2] 참조) 또, 담즙의 흐름이 느려지고 담석증을 유발하는 chenodeoxycholic acid가 증가합니다.

4. 피임 이외의 피임약 작용

피임약을 복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건강상의 이득은 월경 관련 질환(생리통, 배란통의 감소, 생리 기간 및 양의 감소, 월경불순 및 월경전 증후군 감소)의 개선, 일부 질환의 예방(난소 및 자궁내막암의 위험 감소, 자궁내막증식증의 개선, 기능성 난소 낭종 감소, 양성 유방 질환의 예방 등), 철결핍성 빈혈 감소, 골밀도 증가, 여드름 감소 등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피임약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이상지질혈증, 혈전 생성, 혈압의 상승, 뇌혈관 질환 등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① 부종, 혈압상승
Renin substrate의 증가로 Na+ 및 물의 흡수가 증가됩니다. 피임약의 복용으로 혈압을 약간 상승시키기는 하지만 임상적으로 심각한 상승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뭅니다. 만약 피임약의 복용으로 혈압이 상승하였다고 하여도 약물을 복용하게 되면 3~6개월 이내에 이전 혈압으로 돌아갑니다.

② Globulin의 증가
피임약의 복용은 많은 globulin의 증가([표 2] 참조)를 가져옵니다. Globulin의 증가는 저장 철 및 구리의 농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대로 globulin의 증가는 상대적으로 유리 호르몬의 감소를 가져옵니다. 유리 androgen, thyroxine의 감소로 androgen, thyroxine의 효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성욕의 감소, 피로, 때로는 우울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또한 androgen, progesterone의 효능 감소와 더불어 progestins의 작용이 증가하게 되면 탄수화물 섭취가 증가하게 됩니다. 식욕의 증가와 더불어 체중도 늘어나는 이유가 됩니다.

③ 혈전
피임약이란 어떻게 보면 인체를 임신과 유사한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임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출혈을 막아야 하기 때문에 혈액응고 인자([표 2] 참조)가 늘어나게 됩니다. 피임약을 복용하게 되면 월경량이 감소하게 되고 배란이 일어나지 않음으로 배란통이 없어지게 됩니다.
피임약의 복용 시 혈액응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있으면 복용을 하면 안 됩니다. 혈전성 동맥정맥염, 혈전색전증 등의 환자에게는 투약하면 안 됩니다. 또한 수술을 하여서 활동이 어려운 환자 또한 혈전이 생성되는 것을 염려하여서 투약하지 않습니다.
출산을 한 경우나 유산을 한 경우는 약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피임약을 복용합니다. 3개월 이내에 유산을 한 경우에는 바로 복용이 가능하고, 4~6개월 이내에 유산을 한 경우에는 21~28일 후에 복용을 할 수 있습니다. 출산을 한 경우에도 21일 이내에는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습니다.

④ 소화기계
비교적 경미한 이상반응으로 오심, 구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임약의 이상반응으로 보기는 어렵지만 여성 호르몬 자체가 장운동을 느리게 하여서 변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담즙의 흐름이 느려지고 chenodeoxycholic acid의 생성은 담석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피부에 색소침착(기미), 다모증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근경색 및 뇌혈관 질환도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

참고문헌

파마코세라피 임상약학백과사전, 조윤커뮤니케이션
24시 약사, 조윤커뮤니케이션
gonadal physiology and pharmacology, http://nusingpharmacology.info
대한약사회 홈페이지
리핀코트의 그림으로 보는 약리학, 신일북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