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 수준 실력에도 장기 기증자 해마다 감소
30여개 단체 독립적으로 활동해 문화 확산 효과 없어

장기이식 대기자가 2012년 19,243명에서 2013년 21,901명으로 13%나 증가하는 등 장기 기증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증 시스템 효율화와 홍보 강화 대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대한이식학회(이사장 이석구)와 김성주, 김용익, 이명수, 강석훈 의원은 지난 1월 14일 오후 3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장기 기증 활성화: 왜 필요한가’라는 주제로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순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교수, 안규리 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교수, 조원현 계명대 동산의료원 이식혈관외과 교수, 하종원 서울대병원 이식혈관외과 교수, 김현철 이화여대 법학준문대학원 교수, 정통령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 과장이 발표를 맡았으며 김성주 삼성서울병원 이식외과 교수와 공 구 한양대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교수가 공동 사회를 맡았다.

발표자들은 세계 최고 수준의 이식 장기 생존율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장기 기증자가 없는 국내 현실을 지적하며 홍보 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대한이식학회 차기 이사장으로 내정되어 있는 안규리 교수는 일원화 되지 않은 장기기증 확산 운동에 대해 국가 차원의 단체가 이를 통합해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약 30여 종류의 NGO와 국립장기관리센터가 장기기증 활성화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며 “때문에 교육프로그램과 캠페인에 일관성과 전문성이 부족해 기증과 연결되지 않고 단순 인지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 교수는 △의료인과 장기기증자 가족, 학교 정규 교육, 종교계 리더 등 교육 대상의 우선순위 선정 △일관성 있고 전문성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 교사 양성 △문화 확산을 위한 접근 방법의 다양화 △업무 분장 및 협조를 위한 단체-기관 간 네트워크 구축 △장단기 정책실행을 위한 생명자원 관리 본부 내 장기기증 문화 확산 정책실 설치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에 대해 보건복지부 정통령 생명윤리정책과 과장은 “현재 대국민 인식 제고와 의료진 협조 등을 통한 뇌사추정자 신고율 제도 등을 통해 뇌사 기증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며 “이밖에도 장기구득기관 운영 강화를 통한 기증자 이송 최소화, 유족 동의 시 가족관계 증명 저라 등 간소화, 장기·인체조직 기증자 등록서식 일원화 등의 기증자 중심 기증체계를 마련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장기 적출 및 이식 등에 따른 비용의 현실화와 급여화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정 과장은 “기증과 이식 과정에서 합리성을 높이기 위해 비용 현실화와 급여화를 검토 중이며, 장기구득기관과 뇌사판정 대상자 관리 전문기간 이원화도 논의 중에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