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불량성빈혈과 골수이형성증후군 등 수혈 치료에 의존해야 하는 혈액환자 3명 중 1명은 체내에 철(Fe)이 과잉 축적돼 장기에 손상을 주는 ‘철중독증’ 상태에 있다는 조사 논문이 발표돼 충격을 주고 있다.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등 전국 7개 의료기관은 각 병원을 방문한 재생불량성빈혈과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1,128명을 대상으로 ‘만성 수혈로 인한 국내 철중독증 발병 현황’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반복 수혈 환자 철중독증, 조사대상 중 29.3%
 
 
조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조사대상 환자 중 29.3%(331명)가 철중독증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철중독증 환자 중 29.3%(97명)는 이미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발생해, 혈액질환과 철중독증으로 인한 장기손상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국내에는 철중독증으로 인한 장기 손상에 대한 기초 자료가 거의 없는 형편이었으며, 이번처럼 대단위 조사가 진행되기는 처음이다.
 
우리 신체에는 다량의 철을 제거하는 자체 기전이 없어 반복적인 수혈로 인해 체내에 들어온 철(수혈팩 1개 당200~250㎎)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그대로 몸 속 장기 등에 축적돼 각종 부작용을 일으키는 ‘철 중독증’이 발병하게 된다. 진단기준은 수혈을 20단위(10회 수혈) 이상 받았거나, 혈청 페리틴이 1,000ng/mL 이상인 경우이다.
 
 
 
‘만성간질환’과 ‘당뇨’ 가장 많아
 
 
이번 조사에 따르면 재생불량성빈혈환자 795명 중 25.2%(200명)가 철중독증으로 진단됐고, 이들 중 34%(68명)에서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확인됐다. 가장 흔한 장기 이상은 만성간질환(60.3%)이었다. 이어 당뇨병/당내불성(45%), 심기능 이상(20.6%), 성선기능 이상(17.6%), 뇌하수체 이상(14.7%), 피부 색소침착(14.7%) 순으로 관찰됐다. (복수 비율)
 
장기손상이 확인된 68명의 수혈의존기간은 평균 5년이었다. 총 수혈량은 평균 104단위(12~350단위)였고, 철수치는 평균 4,084ng/mL(1,254~22,916ng/mL)로 철중독증 진단 기준치를 크게 넘어섰다.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들의 경우에는 333명 중 39.3%(131명)가 철중독으로 진단됐다. 이들 중 22.1%(29명)에서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확인됐다.
 
가장 흔한 장기 이상은 당뇨병/당내불성(48.3%)이었다.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에게 가장 많았던 만성간질환은 41.4%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피부 색소침착(27.7%), 심기능 이상(6.9%) 순으로 관찰됐다. 장기손상이 확인된 29명의 수혈의존기간은 2년이었다. 총 수혈량은 평균 69.5단위(12~200단위)였고, 철수치는 평균 5,344ng/mL(1,239~20,822ng/mL)로 역시 철중독증 진단기준을 크게 넘어섰다.
 
 
 
철킬레이트 요법으로 예방·치료
 
 
한편, 두 환자군 중 철중독증을 겪고 있는 환자들의 절반 정도가 철을 체외로 배출 시켜주는  ‘철킬레이션 요법’을 받은 적이 있었으나, 이들 중 90%이상이 비정기적으로 사용해 예방 효과가 미미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혈액내과 이종욱 교수는 “잦은 수혈을 받아야 하는  혈액질환자들의 경우 철중독증으로 인한 장기 손상 등의 합병증을 겪을 수 있으므로, 수시로 자신의 철수치(혈청 페리틴 수치)가 1,000ng/mL이 넘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며 “철중독증으로 인한 장기 손상을 막고, 골수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혈액질환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철을 체외로 배출 시켜주는 철킬레이션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에는 가톨릭의대 여의도성모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충남대병원, 경북대병원, 전남대병원, 부산대병원 등 전국의 7개 의료기관이 참여했다.
저작권자 © 한국의약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